본문 바로가기
웹소설 웹툰/필독 웹소설 작법

독자가 소설에서 답답함을 느끼는 이유와 해결법: 감정적 개연성이 만드는 몰입형 스토리텔링 전략

by 갓생영끌파이어 2025. 10. 10.

독자가 소설에서 답답함을 느끼는 이유와 해결법: 감정적 개연성이 만드는 몰입형 스토리텔링 전략

소설을 읽을 때 독자가 느끼는 ‘답답함’은 단순히 이야기 전개의 지연에서 비롯된 불만이 아니다.

그것은 작가와 독자 사이의 갈등 해결 속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본질적인 현상이다.

독자는 이야기 속 문제를 가능한 한 빨리 해결하고 싶은 욕구를 느낀다.

그러나 작가는 그 갈등이 해결되어 가는 과정을 통해 이야기의 긴장감과 재미를 구축한다.

이 시각차가 바로 독자가 답답함을 느끼는 근본적인 이유다.


작가와 독자의 시각차이: ‘빠른 해결’을 원하는 독자와 ‘과정을 즐기는’ 작가

독자는 흔히 소설 속 주인공의 행동을 보며 “왜 저렇게 하지?”라고 답답해한다.

자신이라면 더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가는 갈등을 바로 해소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소설의 재미가 **‘결과’가 아니라 ‘과정’**에 있기 때문이다.

이 관계를 퍼즐 맞추기에 비유할 수 있다.

독자는 완성된 그림(결말)을 빨리 보고 싶어 하지만, 작가는 조각 하나하나를 천천히 맞추며 긴장감과 의미를 쌓아간다.

조각을 너무 빨리 맞춰버리면 그림은 금세 완성되지만, 그 과정에서 얻는 집중과 몰입, 그리고 ‘퍼즐이 완성될 때의 쾌감’은 사라진다.

시각 비교 독자 작가

목표 빠른 갈등 해소, 즉각적 시원함 서사적 긴장 유지, 감정적 여운
관점 결과 중심 (무엇이 일어나는가) 과정 중심 (어떻게, 왜 일어나는가)
행동 기대 주인공이 즉시 움직이길 바람 주인공의 감정과 이유를 쌓으며 움직이게 함
답답함의 원인 주인공의 ‘비효율적’ 선택 감정선 구축을 위한 ‘필요한 지연’

결국 독자가 느끼는 답답함은 서사적 완성도를 위한 시간적 투자이며,

이 긴장감을 얼마나 정교하게 설계하느냐가 작가의 역량을 가늠하는 지표가 된다.


사건보다 감정이 중요하다: ‘감정적 개연성’이 몰입을 결정한다

독자가 답답함을 덜 느끼게 하려면 감정적 개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사건의 논리적 개연성보다 인물의 감정이 설득력 있게 이어지는지가 훨씬 중요하다.

많은 초보 작가가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맞추는 데 집중하지만,

독자가 실제로 몰입하는 지점은 “이 인물이 왜 이런 감정을 느끼는가”에 있다.

예를 들어보자.

비현실적이지만 용인되는 예시 감정적으로 불합리해 몰입이 깨지는 예시

주인공이 죽었지만 친구를 구하기 위해 영혼인 상태로 다시 싸움터로 돌아간다. 평소 냉정하고 계산적인 인물이 아무런 이유 없이 낯선 사람에게 눈물 흘리며 감정이 폭발한다.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지만, ‘의리’나 ‘후회’ 같은 감정이 충분히 쌓여 있다면 독자는 수긍한다. 감정의 전조 없이 급격한 감정 변화가 나타나면 독자는 인물의 심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캐릭터 붕괴’로 인식한다.

즉, 사건의 논리보다 인물의 감정이 납득되는지가 핵심이다.

작가는 주인공의 행동에 감정적 당위성을 부여해야 한다.

‘그가 왜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는가’를 감정적으로 설득시킬 때,

독자는 답답함 대신 인물의 내면에 공감하며 몰입하게 된다.


답답함을 줄이되, 이야기의 긴장은 유지해야 한다

많은 작가가 독자의 불만을 우려해 갈등을 빨리 해결하려는 실수를 한다.

그러나 이는 **‘즉효성에 집착한 서사의 함정’**에 빠지는 행위다.

순간적인 시원함은 줄 수 있지만, 이야기 전체의 긴장감과 여운은 사라진다.

이를 복수 서사에서 살펴보면 명확하다.

예를 들어 주인공이 배신당한 뒤 복수를 결심하자마자

단 몇 장면 만에 복수를 완수한다면 독자는 통쾌함보다 허무함을 느낀다.

하지만 주인공이 복수를 위해 신중히 정보를 모으고, 동맹을 만들고, 자신의 한계를 깨뜨리는 과정을 보여준다면

그 길고 답답한 과정 자체가 서사의 재미가 된다.

복수물의 전개 비교 잘못된 서사 (즉시 해결) 설득력 있는 서사 (감정적 빌드업)

갈등의 길이 짧고 단선적 점진적이며 다층적
감정의 밀도 얕고 일시적 누적되어 폭발적
독자 반응 시원하지만 금세 흥미가 식음 답답하지만 점점 깊게 몰입함

따라서 작가는 독자가 일시적으로 답답함을 느끼더라도,

그 감정이 긴장과 기대감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감정적 설계를 해야 한다.

이때 서두르지 않는 전개가 오히려 전체적인 재미를 높인다.


작가가 기억해야 할 글쓰기 전략

  1. 독자는 빠른 해결을 원하지만, 작가는 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2. 갈등을 단번에 해소하지 말고, 과정의 설득력과 감정의 흐름을 치밀하게 조율해야 한다.
  3. 사건보다 인물의 감정이 우선이다.감정의 개연성이 곧 몰입의 핵심이다.
  4. 인물의 감정이 납득되지 않으면 어떤 서사도 무너진다.
  5. 답답함은 피해야 할 것이 아니라, 통제해야 할 것이다.이를 적절히 유지하되, 불합리함으로 변질되지 않게 해야 한다.
  6. 독자가 느끼는 답답함은 긴장감의 다른 표현이다.
  7. 감정적 당위성을 부여하라.감정의 연결고리는 사건의 논리보다 훨씬 강력하다.
  8. 인물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를 감정적으로 설득시켜야 한다.

결론: 답답함은 재미의 씨앗이다

독자가 소설을 읽으며 느끼는 답답함은 단순한 불편함이 아니라,

이야기의 긴장과 감정의 밀도를 만들어내는 핵심 장치다.

작가는 이 답답함을 억누르기보다, 감정적 개연성과 설득력 있는 빌드업으로 조율해야 한다.

결국 사건의 논리가 아니라 인물의 감정이 독자를 이끈다.

독자의 답답함을 이해하고 그 감정을 서사의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작가만이,

진정한 몰입형 스토리텔링을 완성할 수 있다.

 

참고하면 좋은 글

2025.10.08 - [웹소설 웹툰/작법] - 스토리가 막힐 때 AI와 함께하는 에피소드 구상법: 생각의 틀을 깨는 대화의 힘

 

스토리가 막힐 때 AI와 함께하는 에피소드 구상법: 생각의 틀을 깨는 대화의 힘

스토리가 막힐 때 AI와 함께하는 에피소드 구상법: 생각의 틀을 깨는 대화의 힘창작자가 에피소드를 구상할 때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이건 이미 정했으니까 바꿀 수 없어’라는 생각이다.이

nothingcat.tistory.com

2025.08.30 - [웹소설 웹툰/작법] - 웹소설 캐릭터 만들기 완벽 가이드 | 캐릭터 시트 템플릿과 예시

 

웹소설 캐릭터 만들기 완벽 가이드 | 캐릭터 시트 템플릿과 예시

웹소설 캐릭터 만들기 완벽 가이드 | 캐릭터 시트 템플릿과 예시웹소설에서 캐릭터는 단순한 등장인물이 아니다. 스토리를 이끌고, 독자를 붙잡는 핵심이다.하지만 많은 초보 작가들이 외모나

nothingcat.tistory.com

2025.09.09 - [웹소설 웹툰/작법] - 웹소설을 빨리 쓰는 실전 전략 가이드

 

웹소설을 빨리 쓰는 실전 전략 가이드

웹소설을 빨리 쓰는 실전 전략 가이드웹소설 시장은 속도가 경쟁력이다. 아무리 뛰어난 작품이라도 지나치게 느리게 완성된다면 독자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수익 또한 줄어든다. 반면 일정 수

nothingcat.tistory.com

2025.10.08 - [웹소설 웹툰/작법] - 웹소설의 진짜 재미는 '성장'이 아니라 '관계의 변화'에서 온다

 

웹소설의 진짜 재미는 '성장'이 아니라 '관계의 변화'에서 온다

웹소설의 진짜 재미는 '성장'이 아니라 '관계의 변화'에서 온다작가들이 놓치는 가장 큰 함정많은 웹소설 작가들이 에피소드를 구성할 때 주인공의 성장에 집중한다. 레벨업 시스템을 꼼꼼하게

nothingcat.tistory.com

2025.09.28 - [웹소설 웹툰/작법] - 웹소설 신작 구상 8단계 가이드(키워드 선택부터 플롯 구성까지)

 

웹소설 신작 구상 8단계 가이드(키워드 선택부터 플롯 구성까지)

웹소설 신작 구상 8단계 가이드(키워드선택부터 플롯 구성까지)0. 전체 흐름 한눈에 보기 (산출물 목록)① 키워드 보드(Top 10 + 조합안)② 프리미스 카드(최소 3안)③ 로그라인·태그라인·플랫폼

nothingcat.tistory.com

2025.10.09 - [웹소설 웹툰/작법] - 능동적인 주인공이란 무엇인가 — 세계를 인식하고 선택하는 인물의 본질

 

능동적인 주인공이란 무엇인가 — 세계를 인식하고 선택하는 인물의 본질

능동적인 주인공이란 무엇인가 — 세계를 인식하고 선택하는 인물의 본질이야기 속 주인공을 ‘능동적’이라고 부를 때, 우리는 흔히 그가 끊임없이 움직이고, 문제를 해결하며, 세상을 변화시

nothingca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