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日本語9

07. 1류 동사 활용: あ단으로 바뀌는 형태 정리 🔷 1류 동사 활용: あ단으로 바뀌는 형태 정리✅ 활용 개요14. ない형 (부정형)15. 사역형(使役形)16. 수동형(受け身形)17. 사역수동형(使役受け身形)종합 정리표 (예시: 書く)🔷 1류 동사 활용: あ단으로 바뀌는 형태 정리1류 동사의 사전형(원형)은 대부분 う단으로 끝난다.이걸 활용할 때는 う단 → あ단으로 바꾼 다음, 목적에 맞는 어미를 붙인다.✅ 활용 개요활용형 구성 방식 어미 예 예시 (かく)ない형あ단 + ないかかない쓰지 않다사역형あ단 + せるかかせる쓰게 하다수동형あ단 + れるかかれる쓰이다사역수동형あ단 + せられるかかせられる쓰게 하게 되다 (강제로 쓰이다 등)14. ない형 (부정형)1. 개념동작을 부정함.의미: “~하지 않는다”2. 활용 규칙う단 → あ단 + ない예외: う → わ + な.. 2025. 5. 6.
06. 3류 동사의 보통체형 3류 동사의 활용목차3류 동사의 보통체형1. 개념 설명2. 현재형 보통체3. 과거형 보통체4. 변화 정리표 (보통체)5. 주의할 점3류 동사의 정중체형1. 개념 설명2. 현재형 정중체3. 과거형 정중체4. 변화 정리표 (정중체)3류 동사의 보통체형1. 개념 설명3류 동사(불규칙 동사)는 활용 규칙이 1류·2류와 다르고, 각각 고유한 활용 형태를 가지는 동사이다.일본어에서 3류 동사에 해당하는 동사는 거의 두 개뿐이다.동사 의미する하다くる오다2. 현재형 보통체긍정형형식: [주어] は [동사 사전형]의미: ~한다, ~이다예시: かれは 7じに くる。わたしは スポーツを する。부정형형식:する → しないくる → こない의미: ~하지 않는다, ~오지 않는다예시: かれは こない。スポーツを しない。3. 과거형 보통체긍정형.. 2025. 5. 4.
05. 2류 동사의 보통체형 2류 동사의 보통체형목차2류 동사의 보통체형1. 개념 설명2. 현재형 보통체3. 과거형 보통체4. 변화 정리표 (보통체)5. 주의할 점2류 동사의 정중체형1. 개념 설명2. 현재형 정중체3. 과거형 정중체4. 변화 정리표 (정중체)5. 주의할 점1. 개념 설명2류 동사(一段動詞)는 사전형이 る로 끝나며, 그 앞 음이 항상 い단 또는 え단인 동사이다.1류 동사와는 달리 활용 시 규칙적으로 る를 빼고 어간에 바로 어미를 붙인다.예:たべる(먹다), おきる(일어나다), みる(보다), かりる(빌리다)2. 현재형 보통체긍정형형식: [주어] は [동사 사전형]의미: ~한다, ~이다예시:かのじょは 6じに おきる。わたしは パンを たべる。부정형형식: [동사 어간 + ない]변화 규칙: る를 제거하고 ない를 붙인다.의미: ~.. 2025. 5. 4.
04. 1류 동사의 보통체형 1류 동사의 보통체형목차1류 동사의 보통체형1. 개념 설명2. 현재형 보통체3. 과거형 보통체4. 변화 정리표 (보통체)5. 주의할 점1류 동사의 정중체형1. 개념 설명2. 현재형 정중체3. 과거형 정중체4. 변화 정리표 (정중체)5. 주의할 점1. 개념 설명1류 동사(五段動詞)는 사전형(원형)의 끝이 う단 음으로 끝나는 동사이다.활용 시 어간의 마지막 음이 변하면서 시제(현재/과거) 및 긍정/부정을 나타낸다.예:のむ(마시다), いく(가다), かく(쓰다), はなす(말하다)이들은 모두 う단(む, く, す 등)으로 끝나므로 1류 동사이다.2. 현재형 보통체긍정형형식: [주어] は [동사 사전형]의미: ~한다, ~이다예시:かれは にほんへ いく。わたしは コーヒーを のむ。부정형형식: [동사 어간 + ない]변화 규.. 2025. 5. 4.
03. い형용사 활용 총 정리 1. 개념 설명2. 현재형 보통체3. 과거형 보통체4. 주의할 점5. 자주 쓰이는 い형용사 예시い형용사의 정중체형1. 현재형 정중체2. 과거형 정중체3. 주의할 점까다로운 い형용사 케이스정리: い형용사의 활용 い형용사1. 개념 설명い형용사는 어미가 ‘い’로 끝나는 형용사이다.활용 시 단어 끝 어미가 변화하면서 현재·과거, 긍정·부정을 표현한다.명사 없이도 문장의 서술어 역할을 바로 할 수 있다.예:このラーメンは おいしい。(이 라면은 맛있다)あの山は たかい。(저 산은 높다)2. 현재형 보통체문형 형식 예시긍정[주어] は [い형용사]このラーメンは おいしい。(이 라면은 맛있다)부정[주어] は [い형용사] くないこのラーメンは おいしくない。(이 라면은 맛없다)3. 과거형 보통체문형 형식 예시긍정[주어] は [い형.. 2025. 4. 17.
02. な형용사 활용 총 정리 목차な형용사의 보통체형1. 개념 설명2. 현재형 보통체3. 과거형 보통체4. 주의할 점5. 자주 쓰이는 な형용사 예시な형용사의 정중체형1. 현재형 정중체2. 과거형 정중체3. 주의할 점까다로운 な형용사 케이스1. 겉보기로는 구분이 안 되는 형용사들2. 의미상 조심해야 할 な형용사3. 활용에 주의가 필요한 예외정리: な형용사의 활용な형용사의 보통체형1. 개념 설명な형용사는 명사 앞에 올 때 ‘~な’를 붙여서 수식하고, 문장 끝에서는 보통체 어미를 활용해 쓰인다.예: しずかな まち(조용한 마을)2. 현재형 보통체문형 형식 예시긍정[주어] は [な형용사] だこのへやは きれいだ。(이 방은 깨끗해.)부정[주어] は [な형용사] じゃないこのみせは にぎやかじゃない。(이 가게는 번화하지 않아.)3. 과거형 보통체문형 .. 2025. 4. 12.
01. 명사 보통체형 정중체형 명사 보통체형, 정중체형을 정리해보았다. ㅎㅎ필요한 분들께 도움이 되시길 바란다.01. 명사의 보통체형1. 개념 설명명사: 사람, 사물, 장소, 개념 등을 나타내는 말보통체: 일상적인 말투. 친구, 가족처럼 가까운 사람에게 쓰는 말예: これは ねこ だ。 (이것은 고양이야.)2. 명사의 보통체 문장 구성기본 구조: [명사] + だ예시 문장:かれは せんせい だ。 (그는 선생님이야.)あそこは としょかん だ。 (저곳은 도서관이야.)3. 부정형구조: [명사] + じゃない예시 문장:これは ほん じゃない。 (이건 책이 아니야.)かのじょは がくせい じゃない。 (그녀는 학생이 아니야.)4. 과거형긍정: だった / 부정: じゃなかった예시:きのうは にちようび だった。 (어제는 일요일이었어.)かれは いしゃ じゃなかった。 (그.. 2025.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