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8

80. Grab. (급히/잠깐) ~하다, ~를 집다 📘 목차1. 개념 정리2. 기본 예문3. 실제 대화 예시4. 연습 예문5. 고급 응용 표현6. 비교 표현 정리7. 연관해서 공부하면 좋은 표현Grab. (급히/잠깐) ~하다, ~를 집다1. 개념 정리grab은 기본적으로 “잡다, 움켜쥐다”라는 의미의 동사이지만,일상 회화에서는 “급히 하다”, “잠깐 하다”, “간단히 가져오다/먹다/사다”라는 속도감 있고 비격식적인 뉘앙스로 자주 사용된다.→ 빠르게 행동하거나, 가볍게 처리하는 상황에 주로 쓰인다.→ 특히 음식, 물건, 기회, 순간 등을 잡을 때 자연스럽게 쓰인다.상황에 따라 “뭔가를 잡다”, “먹다”, “잠깐 ~하다”, “챙기다” 등으로 해석된다.말하는 사람이 시간 여유 없이 바쁘거나, 의도하지 않게 급히 뭔가를 하는 상황일수록 잘 어울린다.2. 기본 .. 2025. 5. 5.
06. 3류 동사의 보통체형 3류 동사의 활용목차3류 동사의 보통체형1. 개념 설명2. 현재형 보통체3. 과거형 보통체4. 변화 정리표 (보통체)5. 주의할 점3류 동사의 정중체형1. 개념 설명2. 현재형 정중체3. 과거형 정중체4. 변화 정리표 (정중체)3류 동사의 보통체형1. 개념 설명3류 동사(불규칙 동사)는 활용 규칙이 1류·2류와 다르고, 각각 고유한 활용 형태를 가지는 동사이다.일본어에서 3류 동사에 해당하는 동사는 거의 두 개뿐이다.동사 의미する하다くる오다2. 현재형 보통체긍정형형식: [주어] は [동사 사전형]의미: ~한다, ~이다예시: かれは 7じに くる。わたしは スポーツを する。부정형형식:する → しないくる → こない의미: ~하지 않는다, ~오지 않는다예시: かれは こない。スポーツを しない。3. 과거형 보통체긍정형.. 2025. 5. 4.
05. 2류 동사의 보통체형 2류 동사의 보통체형목차2류 동사의 보통체형1. 개념 설명2. 현재형 보통체3. 과거형 보통체4. 변화 정리표 (보통체)5. 주의할 점2류 동사의 정중체형1. 개념 설명2. 현재형 정중체3. 과거형 정중체4. 변화 정리표 (정중체)5. 주의할 점1. 개념 설명2류 동사(一段動詞)는 사전형이 る로 끝나며, 그 앞 음이 항상 い단 또는 え단인 동사이다.1류 동사와는 달리 활용 시 규칙적으로 る를 빼고 어간에 바로 어미를 붙인다.예:たべる(먹다), おきる(일어나다), みる(보다), かりる(빌리다)2. 현재형 보통체긍정형형식: [주어] は [동사 사전형]의미: ~한다, ~이다예시:かのじょは 6じに おきる。わたしは パンを たべる。부정형형식: [동사 어간 + ない]변화 규칙: る를 제거하고 ない를 붙인다.의미: ~.. 2025. 5. 4.
04. 1류 동사의 보통체형 1류 동사의 보통체형목차1류 동사의 보통체형1. 개념 설명2. 현재형 보통체3. 과거형 보통체4. 변화 정리표 (보통체)5. 주의할 점1류 동사의 정중체형1. 개념 설명2. 현재형 정중체3. 과거형 정중체4. 변화 정리표 (정중체)5. 주의할 점1. 개념 설명1류 동사(五段動詞)는 사전형(원형)의 끝이 う단 음으로 끝나는 동사이다.활용 시 어간의 마지막 음이 변하면서 시제(현재/과거) 및 긍정/부정을 나타낸다.예:のむ(마시다), いく(가다), かく(쓰다), はなす(말하다)이들은 모두 う단(む, く, す 등)으로 끝나므로 1류 동사이다.2. 현재형 보통체긍정형형식: [주어] は [동사 사전형]의미: ~한다, ~이다예시:かれは にほんへ いく。わたしは コーヒーを のむ。부정형형식: [동사 어간 + ない]변화 규.. 2025. 5. 4.
79. Pick up: (중단된 상황으로 돌아가) 계속하다 / 사다 Pick up: (중단된 상황으로 돌아가) 계속하다 / 사다목차1. 개념 정리2. 기본 예문3. 실제 대화 예시4. 연습 예문5. 고급 응용 표현6. 비교 표현 정리7. 연관해서 공부하면 좋은 표현1. 개념 정리pick up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지는 다의어 표현이다.그중 특히 자주 쓰이는 두 가지 의미는 다음과 같다.(중단 후) 다시 시작하다, 이어서 계속하다→ 직역하면 "어디서 멈췄는지 집어서 계속하는" 느낌이다.→ 어떤 활동이나 이야기, 프로젝트가 멈췄다가 다시 이어지는 상황이다.무언가를 사다 / 사 오다→ 계획적이지 않게 ‘가는 김에’ 사는 뉘앙스를 가질 때가 많다.→ 슈퍼나 가게에서 물건을 사다, 주문한 것을 찾다 등의 의미로 쓰인다.이 외에도 사람을 차로 태우다, 속도를 내다, 무언가.. 2025. 5. 4.
78. Be stuck: (안 좋은 상황/장소에 갇혀) 꼼짝 못하다 Be stuck: (안 좋은 상황/장소에 갇혀) 꼼짝 못하다📌 목차개념 정리기본 예문실제 대화 예시연습 예문고급 응용 표현비교 표현 정리연관해서 공부하면 좋은 표현1. 개념 정리be stuck는 무언가에 갇혀서 움직이거나 빠져나오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표현이다.여기서 stuck은 stick(달라붙다, 고착되다)의 과거분사로,어딘가에 붙잡혀 있는 수동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물리적으로 움직이지 못할 때,→ 감정이나 문제, 일정 등에 갇혀 빠져나오지 못할 때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다.“움직일 수 없다”, “진전이 없다”, “선택지가 없다”는 뜻을 모두 내포한다.실제 장소, 생각, 감정, 문제, 교통 등 다양한 맥락에 유연하게 쓰인다.2. 기본 예문문장 해석I’m stuck in traffic.나는.. 2025. 5. 3.
77. Ballpark figure: 어림잡은 숫자 / 대략적인 수치 Ballpark figure: 어림잡은 숫자 / 대략적인 수치📌 목차1. 개념 정리2. 기본 예문3. 실제 대화 예시4. 연습 예문5. 고급 응용 표현6. 비교 표현 정리7. 연관해서 공부하면 좋은 표현1. 개념 정리ballpark figure는 어떤 수치나 금액에 대한 대략적인 추정치를 뜻하는 표현이다.정확한 계산이나 수치가 아닌, 전체적인 범위를 감 잡는 수준의 값이다."ballpark"는 야구장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정확하진 않아도 ‘그 경기장 안 어딘가에 있는’ 범위 정도는 맞춘다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프레젠테이션, 회의, 견적 제시, 예산 계획 등에서 자주 쓰인다.공식 문서보다는 구어체, 대화체에서 더 자주 사용되며, 신속한 의사결정이나 가벼운 제안용 숫자에 적합하다.2. 기본 예문문장 해석.. 2025. 5.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