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영어 문법 정복: 동사와 준동사 총 정리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바로 ‘동사’이다. 하지만 학습을 하다 보면 ‘동사처럼 생긴 단어인데 문장에서 동사 역할을 하지 않는’ 요소들을 마주치게 된다. 바로 ‘준동사’다. 이 콘텐츠에서는 동사와 준동사의 개념부터 시작해, 예문, 실제 대화, 문장 응용, 심화 개념까지 전반적으로 깊이 있게 다룰 것이다. 단어 하나의 쓰임을 넘어서, 문장 내 역할과 의미 해석까지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하겠다.
1. 용어 정의
동사 (Verb)
동사는 문장에서 동작(action)이나 상태(state), 존재(existence)를 표현하는 핵심 품사이다. 모든 문장은 동사를 중심으로 구조화되며, 시제(과거, 현재, 미래),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수(단수, 복수)에 따라 동사의 형태가 바뀐다.
기능 요약:
- 문장의 중심 역할 수행
- 시제와 인칭, 수에 따라 변화
- 문장의 의미 전달 핵심
예시:
- run (달리다)
- eat (먹다)
- is / are (이다)
- feel (느끼다)
준동사 (Non-finite Verb)
준동사는 동사에서 파생되었지만, 시제, 주어에 의한 형태 변화가 없는 비한정 동사이다. 문장에서 동사 본연의 역할은 하지 않지만,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준동사의 세 가지 유형:
유형 형태 예시 문장에서의 기능
to부정사 | to eat | 명사/형용사/부사 역할 가능 |
동명사 | eating | 명사 역할 |
분사(현재/과거) | eating / eaten | 형용사 역할 |
2. 기본 예문
다양한 문장 유형을 통해 동사와 준동사의 기능을 명확히 비교해 보자.
문장 예시 분석
She runs every morning. | runs는 주어 She와 결합해 주동사 역할을 한다 |
To travel around the world is my goal. | to travel은 명사 역할을 하며 문장의 주어로 사용된다 |
Reading books is fun. | reading은 동명사로 명사 역할을 하며 주어이다 |
The smiling child waved at me. | smiling은 현재분사로 형용사 역할을 하여 child를 수식한다 |
This is the letter written by her. | written은 과거분사로 형용사 역할을 하여 letter를 수식한다 |
3. 대화 예문
문맥 속에서 동사와 준동사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실제 대화를 통해 살펴보자.
A: What do you usually do after work?
B: I like to listen to music and go jogging.
A: That sounds nice. I enjoy reading in the evening.
B: Reading helps me relax after a busy day.
문법 분석:
- like to listen: to부정사, 목적어로 사용
- go jogging: go + 동명사, 일상적인 활동 표현
- enjoy reading: 동명사 목적어
- reading helps: 주어로 쓰인 동명사
이처럼 준동사는 문장에서 자유롭게 명사, 부사, 형용사 역할을 수행하며, 유창한 표현력을 높인다.
4. 연습 문장
괄호 안의 동사를 문맥에 맞는 준동사 또는 동사 형태로 변환해 보자.
- She hopes (find) a new job soon.
- (Swim) every day makes me feel healthy.
- I saw him (leave) the building.
- The (damage) car was towed away.
- He is interested in (learn) French.
정답 및 해설:
- to find → hope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받는다
- Swimming → 주어 자리, 명사 역할의 동명사
- leave → 지각동사 saw 뒤에는 원형부정사 사용
- damaged → 명사를 꾸미는 과거분사
- learning → 전치사 in 뒤 명사 역할의 동명사 사용
5. 심화 학습
동사 vs. 준동사 핵심 비교
항목 동사 (Finite Verb) 준동사 (Non-finite Verb)
시제 변화 | 있음 (work → worked / works / will work) | 없음 (to work / working / worked는 시제 영향 없음) |
주어/수 일치 필요 여부 | 있음 (He works / They work) | 없음 (He wants to work / They want to work — to work 고정) |
문장에서의 역할 | 주동사로 문장 구성 |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 수행 |
의미상의 주어
준동사가 명확한 행위 주체를 가질 필요가 있을 때는 의미상의 주어를 표현한다.
- It's important for you to attend the meeting.
- → attend의 주체는 you이다.
- I'm tired of him complaining all the time.
- → complaining의 주체는 him이다.
이처럼 준동사의 앞에 전치사 + 목적격을 사용하여 행위 주체를 표현할 수 있다.
6. 관련 표현
실제로 자주 사용되는 동사와 준동사 관련 표현들을 정리해 보자.
표현 구문 의미 및 예시
want / hope / plan + to부정사 | I plan to study abroad. |
enjoy / avoid / finish + 동명사 | She enjoys swimming in the morning. |
be busy + 동명사 | He's busy preparing for the exam. |
have + 과거분사 | I have finished my homework. |
get + 과거분사 | He got injured during the game. |
see / hear / feel + 동사원형 | I saw her enter the room. |
이러한 표현은 동사 + 준동사 구문을 유창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7. 총괄 정리
- 동사는 시제와 주어 수 일치 등 문장 구성의 핵심이 되는 요소이며, 반드시 문장에 하나 이상 포함되어야 한다.
- 준동사는 시제나 수의 영향을 받지 않고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수행하여 문장의 다양성과 표현력을 극대화한다.
- to부정사, 동명사, 분사의 기능과 용법을 명확히 이해하면, 문장 구성 능력이 크게 향상된다.
- 지각동사, 사역동사, 의미상의 주어 등의 문법 포인트를 통해 준동사의 응용력을 높일 수 있다.
이제 동사와 준동사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예문과 연습을 통해 내 문장으로 활용해보자. 영어 문장의 뼈대와 살을 동시에 이해하는 핵심이 바로 여기에 있다.
도치와 어순 완전 정복: 영어 문장의 숨겨진 규칙을 꿰뚫다
도치와 어순 완전 정복: 영어 문장의 숨겨진 규칙을 꿰뚫다1. 용어 정의*도치(Inversion)**란 문장에서 **일반적인 어순(SVO)**이 바뀌는 현상을 의미한다. 영어에서 어순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도
nothingcat.tistory.com
영어 문법 ‘태(Voice)’ 완전 정복: 능동태와 수동태 총 정리
영어 문법 ‘태(Voice)’ 완전 정복: 능동태와 수동태 총 정리1. 용어 정의‘태(Voice)’란 문장에서 동사의 주어가 동작을 하는지, 아니면 동작을 당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이다. 영어에는 대
nothingcat.tistory.com
주어와 동사는 친구다 – 수일치 완전 정복 가이드
주어와 동사는 친구다 – 수일치 완전 정복 가이드1. 용어 정의주어(Subject)란?문장에서 ‘누가’, ‘무엇이’ 어떤 동작을 하거나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대부분 명사(nouns), 대명사(pr
nothingcat.tistory.com
'English > 영어 문법 기초 마스터 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문법 기초-토익 시험에서 꼭 알아야 할 분사구문 (3) | 2025.07.23 |
---|---|
to부정사와 동명사 (4) | 2025.07.21 |
도치와 어순 완전 정복: 영어 문장의 숨겨진 규칙을 꿰뚫다 (3) | 2025.07.19 |
영어 문법 ‘태(Voice)’ 완전 정복: 능동태와 수동태 총 정리 (0) | 2025.07.19 |
주어와 동사는 친구다 – 수일치 완전 정복 가이드 (0) | 2025.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