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소설에서 매력적인 주인공을 만드는 공식-상황과 목표-
웹소설의 재미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주인공’이다. 그러나 주인공의 매력은 단순히 독특한 성격이나 화려한 능력에서 나오지 않는다. 진짜 매력은 상황과 목표, 그리고 행동의 당위성에서 비롯된다. 이번 글에서는 웹소설에서 매력적인 주인공을 만드는 구체적인 방법과 그 서술 전략을 정리한다.
1. 캐릭터보다 ‘상황과 목표’에 집중하라
많은 초보 작가들이 주인공의 독특한 개성을 먼저 설계하려 하지만, 실제로 독자들이 몰입하는 지점은 다르다.
독자는 주인공이 어떤 사람인가보다 그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고, 무엇을 이루려 하는가에 더 큰 관심을 둔다.
독자 몰입 포인트 설명
| 상황 | 주인공이 처한 갈등이나 위기, 한계 상황이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
| 목표 | 주인공이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움직일 때, 독자는 이야기의 방향을 쉽게 따라간다. |
예를 들어, ‘최강 검사’가 아니라 ‘패배 후 다시 칼을 쥔 검사’, ‘천재 마법사’가 아니라 ‘마법을 잃은 천재’처럼 목표 달성을 위한 여정이 드러나는 캐릭터가 더 매력적이다.
즉, 주인공의 독특함보다 그가 처한 현실적인 문제와 이를 극복하려는 의지가 핵심이다.
2. ‘호감형’보다 ‘비호감 방지형’으로 접근하라
좋은 주인공을 만드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호감 요소를 더하는 것보다, 비호감 요소를 줄이는 것이다.
특히 독자들이 가장 싫어하는 주인공 유형은 “답답하고 멍청하게 보이는 캐릭터”다.
이 문제는 주로 작가가 전개를 위해 주인공을 억지로 끌고 갈 때 발생한다.
따라서 전개를 합리적으로 만들려면 ‘왜 그 선택을 하는가’의 이유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전개 설득의 핵심:
‘A를 해야 한다’는 식으로 설득하기보다,
‘B를 할 수 없는 이유’를 보여주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예를 들어, “주인공이 위험한 숲으로 들어가야 한다”면
단순히 “그곳에 단서가 있으니까”가 아니라
“다른 길은 모두 막혀 있고, 지금 가지 않으면 더 큰 피해가 난다”는 이유를 보여주는 편이 납득된다.
이렇게 하면 주인공은 더 이상 ‘멍청하게 보이는 인물’이 아니라 ‘합리적으로 행동하는 인물’이 된다.
3. 공감 가능한 도덕관념을 유지하라
주인공은 독자가 감정이입하는 대리인이다.
따라서 보편적인 도덕관념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인공이 지나치게 비윤리적인 행동을 하거나 비도덕적인 가치관을 내세우면, 독자는 금세 이탈한다.
단, ‘완벽한 정의감’일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독자가 “이 캐릭터라면 이해할 수 있다”고 느끼는 정도의 도덕적 합리성이다.
즉, 현실에서는 부족할 수 있지만 이야기 속 맥락에서는 설득 가능한 인물이어야 한다.
4. ‘능력의 영역’을 확보하라
모든 주인공이 압도적으로 강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어딘가 한 곳에서만큼은 돋보이는 능력의 영역이 필요하다.
이는 초능력이나 천재성이 아니라, 캐릭터만의 방식이나 사고법일 수도 있다.
예시 주인공의 ‘능력 영역’
| 전쟁터에서도 침착하게 판단하는 병사 | 냉철한 판단력 |
| 모든 일을 기록하며 분석하는 탐정 | 관찰력과 성실함 |
| 사람 대신 로봇과 대화하며 문제를 푸는 개발자 | 독특한 사고 구조 |
이처럼 주인공이 자신만의 ‘빛나는 순간’을 가질 수 있는 영역을 만들어주면, 독자는 자연스럽게 그를 기억하게 된다.
5. ‘노력’과 ‘신념’이 주는 감정선
주인공의 매력은 단순히 강함이나 통쾌함에서 나오지 않는다.
진짜 매력은 목표를 향해 신념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하는 과정에서 생긴다.
이러한 인물은 독자에게 감정적 보상을 준다.
‘강해서 이긴’ 주인공보다, ‘끝까지 버텨서 이긴’ 주인공이 더 오래 남는 이유다.
매력적인 주인공은 결과보다 과정에서 매력을 증명한다.
6. ‘공감’과 ‘냉철함’의 균형
현실적인 감정과 냉철한 판단력은 서로 반대되는 듯하지만, 좋은 주인공은 이 둘을 균형 있게 갖춘다.
독자는 지나치게 감정적인 주인공에게 피로감을 느끼고, 반대로 너무 이성적인 주인공에게는 인간미를 느끼지 못한다.
예를 들어, 위기 속에서도 냉정하게 판단하지만 친구를 위해서는 한 번쯤 무모한 선택을 하는 인물은 ‘입체적’이다.
이런 주인공은 현실성과 이상 사이의 경계선에서 독자의 공감을 얻는다.
7. 결론: ‘유니크함’보다 ‘몰입감’이 먼저다
주인공의 성격이나 설정이 독특할수록 매력적일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오히려 그 유니크함이 독자의 몰입을 방해할 수 있다.
독자는 이야기 속에서 자신을 투영하기 때문에,
너무 특별한 인물보다는 **“나라도 이렇게 행동했을 것 같다”**고 느끼게 하는 주인공이 더 매력적이다.
결국 좋은 주인공은 화려함이 아니라, 이야기의 방향성을 잡아주는 연결고리이다.
그가 어떤 상황에 처했고, 어떤 목표를 위해 싸우며, 왜 그런 선택을 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것 —
그것이 바로 매력적인 주인공을 만드는 핵심 공식이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5.08.30 - [웹소설 웹툰/작법] - 웹소설 캐릭터 만들기 완벽 가이드 | 캐릭터 시트 템플릿과 예시
웹소설 캐릭터 만들기 완벽 가이드 | 캐릭터 시트 템플릿과 예시
웹소설 캐릭터 만들기 완벽 가이드 | 캐릭터 시트 템플릿과 예시웹소설에서 캐릭터는 단순한 등장인물이 아니다. 스토리를 이끌고, 독자를 붙잡는 핵심이다.하지만 많은 초보 작가들이 외모나
nothingcat.tistory.com
2025.09.08 - [웹소설 웹툰/작법] - 웹소설 플롯 점검 치트 시트: 이야기가 막힐 때 쓰는 최강 가이드
웹소설 플롯 점검 치트 시트: 이야기가 막힐 때 쓰는 최강 가이드
플롯 구조 상세 설명전체 개요와 목적플롯 구조는 이야기를 움직이는 골격이다. 구조는 이야기의 리듬과 기대감을 조절하며, 주제와 인물의 선택이 의미 있게 보이도록 만든다. 플롯 설계는 단
nothingcat.tistory.com
2025.09.27 - [웹소설 웹툰/작법] - 웹소설 대사 잘 쓰는 법 완전 정리: 리얼한 몰입감을 만드는 실전 가이드
웹소설 대사 잘 쓰는 법 완전 정리: 리얼한 몰입감을 만드는 실전 가이드
웹소설 대사 잘 쓰는 법 완전 정리: 리얼한 몰입감을 만드는 실전 가이드웹소설을 처음 쓰는 지망생이든, 이미 작품을 연재 중인 작가이든 가장 많이 부딪히는 벽 중 하나가 바로 대사다. 글로
nothingcat.tistory.com
2025.09.24 - [웹소설 웹툰/작법] - 웹소설 작가에게 필요한 10가지 핵심 적성
웹소설 작가에게 필요한 10가지 핵심 적성
웹소설 작가에게 필요한 10가지 핵심 적성– 성공하는 이야기꾼을 위한 현실적인 가이드 –웹소설은 ‘누구나 쓸 수 있다’는 말이 가능할 만큼 진입 장벽이 낮다. 하지만 ‘끝까지 완결을 내고
nothingcat.tistory.com
2025.10.10 - [웹소설 웹툰/작법] - 웹소설 안 써질 때. 대사로 빠르게 쓰기 기법
웹소설 안 써질 때. 대사로 빠르게 쓰기 기법
웹소설 안 써질 때. 대사로 빠르게 쓰기 기법― 대화 중심 전개 전략의 힘웹소설을 쓰다 보면 어느 순간 머리가 하얘지고 손이 멈추는 순간이 온다. 이야기의 방향은 알겠는데 문장이 나오지 않
nothingcat.tistory.com
2025.10.09 - [웹소설 웹툰/작법] - 웹소설 비기 고구마 템포 조절하는 법-연독률을 높이는 전개 조절
웹소설 비기 고구마 템포 조절하는 법-연독률을 높이는 전개 조절
웹소설 비기 고구마 템포 조절하는 법-연독률을 높이는 전개 조절— 고구마와 사이다의 템포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이야기의 결말이 뻔하더라도 독자는 쉽게 흥미를 잃지 않는다.왜냐하면 독자
nothingcat.tistory.com
2025.10.10 - [웹소설 웹툰/작법] - 한 화의 끝이 작품의 운명을 결정한다: 웹소설 마무리 작법의 핵심 원리
한 화의 끝이 작품의 운명을 결정한다: 웹소설 마무리 작법의 핵심 원리
한 화의 끝이 작품의 운명을 결정한다: 웹소설 마무리 작법의 핵심 원리웹소설을 꾸준히 연재하는 작가라면 누구나 한 번쯤 느꼈을 것이다. “이 화는 분명 재미있었는데, 반응이 약하다.” 반
nothingcat.tistory.com
2025.10.06 - [웹소설 웹툰/작법] - 웹소설 작가 데뷔를 위한 3가지 핵심 전략 — 실전형 가이드
웹소설 작가 데뷔를 위한 3가지 핵심 전략 — 실전형 가이드
웹소설 작가 데뷔를 위한 3가지 핵심 전략 — 실전형 가이드요약: 웹소설 작가로 데뷔하기 위해 가장 현실적이고 실전적인 접근 순서는 (1) 전략적 심사 준비 → (2) 메이저 키워드 중심의 기획 →
nothingcat.tistory.com
'웹소설 웹툰 > 필독 웹소설 작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작가를 위한 최고의 글쓰기 프로그램 총정리: Atticus부터 Scrivener, Word까지 (0) | 2025.11.15 |
|---|---|
| 웹소설에서 회상 파트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법 (0) | 2025.10.13 |
| 웹소설의 재미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 ‘관계의 힘’ 완벽 분석 (0) | 2025.10.12 |
| 웹소설 작가가 알아야 할 독자 심리: 불확실성이 만드는 답답함과 몰입의 메커니즘 (0) | 2025.10.12 |
| 웹소설의 기대감 형성 원리: 독자를 몰입시키는 ‘아는 재미’의 기술 (0) | 2025.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