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know it’s a lot to ask – 조심스럽게 부탁할 때
📌 목차
1. 개념 정리
- **I know it’s a lot to ask, but ~**는 말을 꺼내기 전에 부담스럽거나 무리한 부탁이라는 것을 먼저 인정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예의를 갖추는 표현이다.
- 직역하면 “많이 요구하는 걸 아는데”지만, 실제로는 “죄송하지만” 혹은 “실례인 줄 알지만”의 정서에 가깝다.
- I hate to ask, but ~ 역시 ‘부탁하고 싶지 않지만 어쩔 수 없이’라는 마음이 담긴 공손한 표현이다.
이 표현들은 특히 부담을 줄 수 있는 부탁을 할 때, 또는 상대방이 거절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유용하다.
2. 기본 예문
- I know it’s a lot to ask, but could you pick up my sister from the airport?
- I know it’s a lot to ask, but would you mind proofreading my entire thesis?
- I know it’s a lot to ask, but can I stay at your place for a few nights until I find a new apartment?
→ 위 예문들은 하나같이 부탁하는 내용이 ‘단순한 수준’을 넘는 것으로, 듣는 사람 입장에서 약간의 희생이나 노력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3. 일상 대화 예시
- A: Do you have any plans this Friday night?
- B: Not really. Why, what’s up?
- A: I know it’s a lot to ask, but would you be able to help me set up for my sister’s engagement party?
- B: Wow, that sounds serious. What kind of help do you need?
- A: Just helping with decorations and picking up the cake.
- B: Sure, I can help. It actually sounds fun.
→ 부탁하기 전에 "I know it’s a lot to ask"로 말을 꺼내면서 부탁의 무게를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예의 바른 접근이자 대화의 완충 작용을 한다.
4. 실생활 표현
- I know it’s a lot to ask, but can you reschedule your meeting so we can attend the funeral together?
- I know it’s a lot to ask, but could you let my cousin stay in your guest room just for tonight?
- I know it’s a lot to ask, but would you mind helping me move these boxes upstairs? My back is killing me.
- I know it’s a lot to ask, but can you talk to your manager for me? I think there’s been a misunderstanding.
→ 이 표현들은 직장, 가족, 친구 등 다양한 관계에서 적절히 사용될 수 있으며, 감정적 거리나 부탁의 민감도에 따라 조심스럽게 조율해야 할 필요가 있다.
5. 응용 표현
- I have a big favor to ask you.
- → "너에게 큰 부탁이 있어." 말 그대로 부담스러운 부탁임을 드러낸다.
- I need a big favor.
- → 상황은 간결하지만, 직접적이고 솔직한 어조다.
- I need a big ask.
- → 구어체에서 주로 쓰이며, ‘ask’를 명사로 사용하는 데 주의한다.
- I don’t want to impose.
- → “민폐 끼치고 싶진 않아.” 상대의 불편함을 사전에 의식하는 표현이다.
- It’s no imposition at all.
- → “전혀 부담되지 않아.” 부탁을 흔쾌히 받아들일 때 쓰인다.
대화 예시
- A: I really don’t want to impose, but I lost my wallet. Can I borrow some cash for the train?
- B: It’s no imposition at all. I’ve got you covered.
- A: Remember when I said I might need a big favor? It’s about that time.
- B: This sounds serious. What do you need?
6. 뉘앙스와 실제 사용의 맥락
“I know it’s a lot to ask”는 단지 말의 예의가 아니라, 실제로 대인관계에서 신뢰와 존중을 표현하는 장치다.
- 심리적 완충제로 작용해서, 듣는 사람의 거절에 대한 부담을 줄인다.
- 사회적 관계의 미묘함을 다룰 수 있는 표현으로, 특히 서구 문화권에서는 부담을 줄이고 상대에게 선택권을 주는 뉘앙스로 자주 쓰인다.
- 거절이 예상되는 상황(예: 돈, 시간, 물건 요청)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7. 연관해서 공부하면 좋은 표현
표현 의미 특징
Would you mind if ~? | ~해도 괜찮을까요? | 공손한 허락 구하기 |
If it’s not too much trouble ~ | 혹시 폐가 되지 않는다면 | 정중하고 완곡한 표현 |
I completely understand if you can’t | 못 하셔도 이해해요 | 거절의 여지를 남겨두는 표현 |
I wouldn’t ask if it weren’t important | 중요하지 않다면 안 묻겠어요 | 진지함 강조 |
I wouldn’t normally ask, but ~ | 평소라면 안 부탁해요 | 상황의 특별함 강조 |
'English > 영어 회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35. Not that I know of – 내가 아는 한 아니야 (0) | 2025.04.12 |
---|---|
34. can’t help – 통제되지 않는 감정과 반응 표현 (0) | 2025.04.12 |
32. I hate to say it – 아쉽지만 말해야 할 때 (0) | 2025.04.10 |
31. or better yet – 더 나은 제안을 덧붙일 때 (0) | 2025.04.09 |
30. be/get caught up in ~ – 생각이나 상황에 휘말릴 때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