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 say the word – 말만 해, 내가 도와줄게
목차
- 1. 개념 정리
- 2. 기본 예문
- 3. 실제 대화 예시
- 4. 연습 예문
- 5. 고급 확장 표현
- (1) All you have to do is say the word
- (2) My offer still stands / The offer’s on the table
- (3) I’m at your service / I’m here for you
- 6. 실제 영어 맥락에서의 뉘앙스 분석
- 7. 연관해서 공부하면 좋은 표현
1. 개념 정리
- Just say the word는 직역하면 “그 말만 해”지만, 실제로는 상대가 말하기만 하면 바로 도와주겠다는 강한 의지와 호의를 담고 있다.
-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준비가 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 한국어 표현 “말만 해”와 거의 완벽히 대응되며, 따뜻하고 신뢰감 있는 분위기를 만든다.
2. 기본 예문
문장 해석
Just say the word and I’ll cover your shift. | 말만 하면 네 근무 대신 서줄게. |
If you’re not feeling well, just say the word. I’ll take care of the meeting. | 몸 안 좋으면 말만 해. 내가 회의 처리할게. |
I’ve got the tools in my car. Just say the word and I’ll bring them up. | 내 차에 공구 있어. 말만 하면 가져올게. |
→ 실제 상황에서는 도와줄 의지, 능력, 여유가 있을 때 쓰는 표현이다.
3. 실제 대화 예시
- A: Ugh, I don’t know how I’m going to carry all these boxes upstairs.
- B: Just say the word. I’ll grab my gloves and help you out.
- A: Are you sure?
- B: Of course. You’d do the same for me.
→ just say the word는 친밀감과 기꺼운 태도를 동시에 전달하고 있다.
4. 연습 예문
(1) 기본 구조 중심 예문
문장 해석
Just say the word and I’ll talk to him for you. | 말만 하면 내가 그한테 대신 얘기해줄게. |
You don’t have to go through this alone. Just say the word. | 혼자서 이겨내려 하지 마. 말만 해. |
If you’re ever stuck late, just say the word and I’ll pick you up. | 늦게 남게 되면 말만 해. 내가 데리러 갈게. |
(2) 부가 구조와 함께 쓰는 예문
문장 해석
Just say the word and I can ask my cousin to take a look at your car. | 말만 하면 내 사촌한테 네 차 좀 봐달라고 부탁할 수 있어. |
You need to move next weekend? Just say the word and I’ll bring my truck. | 다음 주에 이사해? 말만 해. 트럭 가져갈게. |
Just say the word and I’ll talk to the manager to see what can be done. | 말만 해. 내가 매니저랑 얘기해볼게, 뭐 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
5. 고급 확장 표현
(1) All you have to do is say the word
- 의미: 네가 해야 할 건 말하는 것뿐이야
- 더 부드럽고 확신에 찬 친절한 표현이다.
All you have to do is say the word, and I’ll handle the rest. | 말만 하면 나머지는 내가 다 할게. |
You need a ride? All you have to do is say the word. | 태워달라고? 말만 해. |
(2) My offer still stands / The offer’s on the table
- 의미: 아직도 내 제안은 유효해
- 도움을 제안한 후,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유효함을 강조할 때 쓴다.
Just say the word. My offer still stands. | 말만 해. 제안은 여전히 유효해. |
The offer’s on the table if you change your mind. Just say the word. | 마음이 바뀌면 말만 해. 제안은 그대로야. |
(3) I’m at your service / I’m here for you
- 의미: 언제든 도울 준비가 되어 있어
- 격식을 갖춘 자리나 감정적 지지를 표현할 때 적절하다.
Whatever you need, I’m at your service. | 무엇이든 필요하면 말씀만 하세요. |
You’re not alone in this. I’m here for you. Just say the word. | 너 혼자가 아니야. 내가 여기 있어. 말만 해. |
6. 실제 영어 맥락에서의 뉘앙스 분석
표현 어감 상황 사용자의 태도
Just say the word | 따뜻함 + 즉시성 | 친구, 가족, 직장 동료 등에게 | 기꺼이 돕고 싶다는 적극적 의사 |
All you have to do is say the word | 강조, 위로 | 상대가 망설일 때 | 부담감을 덜어주려는 의도 |
I’m here for you | 정서적 지지 | 힘든 상황 | 동정, 공감, 지원의 메시지 |
My offer still stands | 논리적 + 따뜻함 | 이전 제안을 유지할 때 | 결정은 너에게 달렸다는 존중 |
I’ve got your back | 적극적인 동료의식 | 팀 프로젝트, 위기 상황 | 완전히 믿고 따르라는 메시지 |
7. 연관해서 공부하면 좋은 표현
표현 의미 사용 맥락
Let me know | 알려줘 | 부담 없이 요청할 때 |
Give me a heads-up | 미리 말해줘 | 일정, 변화 등에 대비하고 싶을 때 |
I’m all ears | 들을 준비 됐어 | 적극적으로 듣겠다는 태도 |
If there’s anything I can do | 내가 할 수 있는 게 있다면 | 정중하고 격식 있는 도움 제안 |
I’m just a call away | 언제든 연락만 해 | 신뢰와 접근성을 강조할 때 |
36. I’m having second thoughts – 마음이 흔들릴 때
I’m having second thoughts – 마음이 흔들릴 때목차1. 개념 정리2. 기본 예문3. 실제 대화 예시4. 연습 예문5. 심화 표현 및 유사 표현 비교(1) second-guess(2) think twice(3) have reservations about6. 실제 영어 맥락
nothingcat.tistory.com
35. Not that I know of – 내가 아는 한 아니야
Not that I know of – 내가 아는 한 아니야📌 목차1. 개념 정리2. 기본 예문3. 실제 대화 예시4. 연습 예문5. 고급 표현 확장(1) Not to the best of my knowledge(2) Not really, at least not in the conventional sense6. “내가
nothingcat.tistory.com
34. can’t help – 통제되지 않는 감정과 반응 표현
can’t help – 통제되지 않는 감정과 반응 표현📚 목차1. 개념 정리2. 기본 예문3. 일상 대화 예시4. 실생활 표현 ① – can’t help ~ing5. 실생활 표현 ② – can’t help but + 동사원형6. 표현 구분 주의7.
nothingcat.tistory.com
'English > 영어 회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 You know how it is – 뭔지 알잖아 / 너도 겪어봤잖아 (0) | 2025.04.14 |
---|---|
38. Just so you know – 참고로 말하자면 (0) | 2025.04.14 |
36. I’m having second thoughts – 마음이 흔들릴 때 (0) | 2025.04.13 |
35. Not that I know of – 내가 아는 한 아니야 (0) | 2025.04.12 |
34. can’t help – 통제되지 않는 감정과 반응 표현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