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s a part of me that ~
1. 의미
There’s a part of me that ~는 말하는 사람의 내면 깊은 곳에 존재하는 감정이나 생각의 일면을 드러낼 때 쓰는 표현이다.
완전히 주된 감정은 아니지만, 무시할 수 없는 마음의 일부를 솔직하게 인정하거나 고백하는 뉘앙스를 가진다.
✅ 보통은 혼란스러운 감정이나 상충되는 마음, 혹은 내면의 솔직한 동기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된다.
한국어 대응 표현으로는
- “한편으론 ~”,
- “내 마음 어딘가엔 ~한 마음도 있다”,
- “솔직히 말하면 ~하는 마음도 없지 않아 있다”
- 등이 자연스럽다.
2. 기본 예문
- There’s a part of me that hopes they cancel the meeting.
- → 솔직히 말해, 회의가 취소되길 바라는 마음도 조금 있어.
- I try to be happy for her, but there’s a part of me that feels left behind.
- → 그녀를 위해 기뻐해 주려고 하지만, 나만 뒤처지는 것 같다는 마음도 어딘가에 있어.
📌 뉘앙스 해설
이 표현은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보다, 자기 안의 복잡한 마음을 층위별로 분리해 보여주는 방식이다.
중립적이면서도 정직한 자기 고백의 톤을 만들어 준다.
3. 대화 예시
A: So, are you excited about going back home?
B: I mean, yeah. I miss my family.
A: That’s great.
B: But… there’s a part of me that’s scared. Like I won’t fit in anymore.
📌 대화 속 맥락 해설
- “There’s a part of me that’s scared”는 전반적으로는 기대되지만, 내면 깊숙한 불안감이 공존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 한국어로는 “기대되긴 하는데, 한편으로는 좀 무섭기도 해”와 같은 번역이 자연스럽다.
- 이 표현은 두 감정이 충돌할 때 둘 다 인정하면서 정서적 복합성을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는 말이다.
4. 연습 예문
- There’s a part of me that wants to take the risk, even if it might fail.
- → 실패할 수도 있지만, 위험을 감수해 보고 싶은 마음도 있다.
- A part of me still checks their social media, even though I know I shouldn’t.
- → 보지 말아야 하는 걸 알면서도, 아직도 그 사람 SNS를 확인하는 내 마음의 일부가 있다.
- A part of me feels relieved that it’s over.
- → 끝나서 안도감이 드는 마음도 있다.
- A part of me thinks this might be a mistake, but I’m doing it anyway.
- → 이게 실수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한편으로는 있지만, 그래도 하려 한다.
📌 표현 특징
- 이 표현은 감정을 완전히 정리된 상태로 표현하지 않고, 복잡한 상태 그대로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 종종 양가감정(ambivalence)이나 후회, 기대, 불안 같은 감정과 함께 등장한다.
5. 응용 및 심화 표현
✅ 항상 존재하는 작은 마음
- There’s always a part of me that wonders if I took the wrong path.
- → 가끔은 내가 잘못된 길을 선택한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늘 마음 한 구석에 있어.
- There’s a quiet part of me that still misses the old days.
- → 조용히 예전 시절을 그리워하는 마음도 내 안에 여전히 있다.
📌 여기서 always나 still과 같이 지속성 있는 부사를 쓰면,
지워지지 않는 감정의 잔재를 표현하는 데 효과적이다.
✅ 양면적인 감정
- There’s a part of me that forgives him, and another part that never will.
- → 용서하는 마음도 있지만, 절대 용서할 수 없는 마음도 있다.
- A part of me wants closure, but another part wants to just forget everything.
- → 마음속 한쪽은 마무리를 원하지만, 다른 한쪽은 그냥 다 잊어버리고 싶어한다.
📌 이중 구조는 감정의 복잡성을 더욱 강조하고,
내적 갈등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다.
✅ side로 대체해 성향 표현하기
- There’s a side of me that enjoys being alone more than I’d like to admit.
- → 혼자 있는 걸 생각보다 더 좋아하는 내 모습도 있다.
- There’s a side of her that’s incredibly competitive, even if she hides it well.
- → 겉으로는 잘 감추지만, 경쟁심 강한 면도 그녀에겐 분명 있다.
📌 side는 성격이나 성향의 일면을 말할 때 자연스럽게 쓰이며,
조금 더 지속적이고 반복되는 경향을 표현하는 데 적합하다.
6. 참고 사항 & 학습 팁
✅ 자주 쓰이는 패턴
표현 구조 예시
There’s a part of me that + 동사 | There’s a part of me that hopes I fail, just to prove something. |
A part of me + 동사 | A part of me still thinks about what could’ve been. |
There’s always/still a part of me that ~ | There’s always a part of me that misses her. |
There’s a side of me that ~ | There’s a side of me that loves the challenge. |
✅ 표현의 성격
- 감정을 확신하거나 강조하기보다는, 부정할 수 없는 마음의 한 조각을 조심스럽게 표현할 때 유용하다.
- 영어에서 이 표현은 자기 고백, 감정의 층위 표현, 심리적 거리두기 등에 적합하다.
✅ 요약 정리
There’s a part of me that ~ | 내 안의 일부 감정, 생각 | There’s a part of me that’s still scared. | 한편으로는 아직도 무서운 마음이 있다 |
A part of me ~ | 말하는 사람의 부분적 감정 | A part of me wishes I said no. | 거절했더라면 좋았겠다는 생각도 들어 |
There’s a side of me that ~ | 성향, 태도, 일면 | There’s a side of me that thrives under pressure. | 압박 속에서 더 잘하는 내 모습도 있다 |
※ 표현 목록은 빨모쌤의 라이브 영어회화를 참고하였습니다!
'English > 영어 회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in and of itself (0) | 2025.04.01 |
---|---|
17. one of those ~ (0) | 2025.04.01 |
15. on some level (0) | 2025.03.31 |
14. depend on (0) | 2025.03.31 |
13. worth of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