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nglish/영어 회화

23. happen to

by 일상지식적립중 2025. 4. 4.

happen to


1. 개념 정리

happen to + 동사원형은 어떤 일이 우연히, 뜻밖에, 예상하지 않았는데 벌어졌음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한국어로는 문맥에 따라 “마침”, “하필”, “혹시”, “우연히”, “알고 보니” 등으로 해석된다.

💡 영어에서 happen to는 우연성의 뉘앙스를 갖는다. 어떤 의도나 계획 없이 ‘그렇게 됐다’는 느낌이 강조된다.

💬 반면, 한국어에서는 이 우연성이 ‘좋은 기회’일 수도 있고, ‘뜻밖의 일’일 수도 있다. 상황 맥락이 감정을 좌우한다.


2. 기본 예문

  • I happen to know the owner of that café.
  • 알고 보니 그 카페 주인을 내가 알더라고.
  • I happen to be free this Friday evening.
  • 마침 이번 금요일 저녁에 시간이 나.
  • I happen to be allergic to peanuts.
  • 하필이면 나 땅콩 알레르기가 있어.

3. 일상 대화 예시

A: I was thinking of going to Jeonju this weekend.

이번 주말에 전주나 가볼까 했거든.

B: No way! I happen to be going there for a friend’s wedding.

진짜? 나도 친구 결혼식 때문에 마침 거기 가.

A: That’s such a coincidence. Are you staying the night?

우연도 이런 우연이 있나. 거기서 하루 자?

B: I might. Oh, and if you happen to pass by the old Hanok village, try that walnut makgeolli.

그럴지도. 아, 그리고 혹시 한옥마을 들르게 되면 호두 막걸리 꼭 마셔봐.


4. 다양한 실생활 표현 예시

  • I happen to speak a bit of German.
  • → 나 알고 보면 독일어 조금 해.
  • She happened to overhear the conversation.
  • → 걔가 우연히 그 대화를 엿듣게 됐어.
  • Do you happen to have a charger I can borrow?
  • 혹시 충전기 좀 빌릴 수 있을까?
  • Did you happen to see my notebook on the kitchen table?
  • 혹시 부엌 테이블 위에서 내 노트북 봤어?
  • He happens to be the youngest professor in his department.
  • → 걔가 그 과에서 가장 어린 교수라는 거 알고 있었어?

✅ 여기서도 영어는 "그런 일이 의도 없이 일어났다"는 쪽에 방점이 찍히고,

✅ 한국어는 그 우연의 맥락과 감정을 강조한다. (‘어떻게 그런 일이’, ‘어쩌다 보니’ 같은 말로 표현됨)


5. 응용 및 심화 표현

(1) There happened to be + 명사: 어떤 것이 우연히 존재했음을 나타냄

  • There happened to be an umbrella under the table.
  • 마침 테이블 밑에 우산이 하나 있더라.
  • There happened to be a power outage while I was baking.
  • 하필 베이킹하는 중에 정전이 됐어.

(2) It just so happens that ~: 강조된 우연성, "절묘하게 그런 일이 있다"

  • It just so happens that I booked the same hotel.
  • 절묘하게도 나도 같은 호텔을 예약했어.
  • It just so happens that we were discussing that exact issue yesterday.
  • 우연히도 어제 딱 그 주제를 얘기했어.

(3) As it happens, ~: 우연히 벌어진 상황을 설명할 때 서두로 사용

  • As it happens, I was going to call you today.
  • 공교롭게도 오늘 너한테 전화하려던 참이었어.
  • As it happens, we have an extra seat at our table.
  • 마침 우리 테이블에 자리 하나 남아 있어.

6. 표현 확장: 다양한 시제·형태·구조 활용

패턴 예문 해석

현재형 I happen to know his sister. 걔 여동생을 마침 알아.
과거형 We happened to run into each other in Tokyo. 도쿄에서 우연히 마주쳤어.
의문문 Do you happen to remember her name? 혹시 걔 이름 기억나?
부정형 I didn’t happen to see the message. 메시지를 못 본 거 같아.
강조구 It just so happens that I have a friend in that field. 절묘하게도 그 분야에 친구가 있어.

7. 영어 문맥 vs 한국어 표현의 뉘앙스 차이

영어 표현 한국어 해석 뉘앙스 비교

happen to know 알고 있다 우연히, 뜻밖에 안다는 느낌
happen to see 보다 마침 보게 됐다, 우연히 봤다
happen to have 가지고 있다 마침 있다, 운 좋게 있다
just so happens 절묘하게 그렇다 놀랍도록 타이밍이 맞는다
as it happens 공교롭게도 말 나온 김에 설명하자면의 흐름

☑ 영어에서는 사실 전달이 주 목적이고, 우연성에 포커스를 둔다.

☑ 한국어는 감정과 타이밍을 중심으로 해석되므로, 같은 표현도 때론 ‘하필’처럼 부정적이거나 ‘마침’처럼 긍정적으로 들린다.

 

 

※ 표현 목록은 빨모쌤의 라이브 영어회화를 참고하였습니다!

'English > 영어 회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be about to + 동사원형  (0) 2025.04.05
24. not ~ until  (0) 2025.04.04
22. very  (0) 2025.04.04
21. Just the  (1) 2025.04.03
20. pull off / get away with  (0)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