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영어 회화43 29. I’ve been meaning to ~ – 하려고 생각만 하던 일 표현 I’ve been meaning to ~ 📌 목차1. 개념 정리2. 영어권 실제 맥락에서의 뉘앙스 분석① 생각만 하고 미루던 일에 대한 약간의 변명② 자연스럽게 대화에 참여하는 연결어 역할③ 정서적 공감이나 관계 표현으로 쓰이기도 함3. 예문 – 기본 사용4. 예문 – 일상 대화 상황5. 예문 – 실생활 활용 표현6. 예문 – 응용 및 심화 표현7. 같이 공부하면 좋은 표현1. 개념 정리I’ve been meaning to + 동사원형은과거 어느 시점부터 지금까지 무언가를 하려고 계속 생각만 하고 있었던 상태를 나타낸다.어떤 행동을 계획은 하고 있었지만 아직 하지 못한 경우, 또는막 하려던 타이밍에 상대가 먼저 언급했을 때 자주 사용된다.주로 “안 그래도 ~하려고 했었어”, “계속 생각만 했어”라는 의.. 2025. 4. 8. 28. would – 가볍게 조언할 때 쓰는 표현 Would – 가볍게 조언할 때 쓰는 표현1. 개념 정리would / wouldn’t + 동사원형은“내가 너라면 ~하겠다 / 안 하겠다”는 의미로 조심스럽고 부드러운 조언을 할 때 쓰인다.should보다 덜 직접적이고, 충고가 부담스럽지 않게 전달되는 말투이다.상대방에게 결정권을 남겨두면서 의견을 제시하고 싶을 때 적합한 표현이다.2. 영어권 실제 맥락에서의 뉘앙스 분석① 경험 기반의 조언이나 의견‘내 경험상 이게 낫다’는 식의 태도로 말할 때 많이 쓰인다.예:→ 날짜를 다시 확인하는 게 좋다는 조언이지만, 상대가 선택할 여지를 남긴 어조이다.I would double-check the dates before booking.② 조심스러운 반대 표현직접적으로 반대하지 않고, “나는 그렇게 안 할 거야”라고.. 2025. 4. 7. 27. might as well might as well – ‘이왕이면’, ‘어차피 ~할 거면’1. 개념 정리might as well + 동사원형은“이런 상황이라면 그냥 ~하자”는 수용, 체념, 가벼운 제안의 의미를 담은 표현이다.“어차피 ~할 거라면 그냥 ~하는 편이 낫다” 혹은선택지가 많지 않거나, 굳이 거절할 이유가 없을 때 자주 쓰이며,논리적인 대안보다는 ‘이 상황이면 그냥 이게 낫지 않겠냐’는 말투에 가깝다.2. 영어권에서의 실제 사용 뉘앙스 – 세부 분석① 소극적 수용의 태도적극적인 제안보다는, 기대하지 않았지만 받아들이는 분위기에서 많이 쓰인다.예:→ “다른 사람이 없으니 걔한테 물어보자”는 뉘앙스로, 어쩔 수 없어서 택하는 선택이다.There’s no one else around. We might as well ask h.. 2025. 4. 6. 26. 사역동사 have – 과정보다 결과에 초점을 둘 때 사역동사 have – 과정보다 결과에 초점을 둘 때1. 개념 정리have + 목적어 + 동사원형 구조는 누군가에게 특정 행동을 하도록 조율하거나 위임해서, 그 결과가 실현되도록 만드는 표현이다.이 표현은 어떤 행동이 실제로 일어나도록 관리하거나 주도하는 상황에서 사용된다.말로만 시키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일어나게 한다는 데 핵심이 있다.의도와 실행을 잇는 ‘중간 관리자 역할’에 가까운 표현이다.2. 영어권에서의 실제 사용 뉘앙스 – 세부 분석① 실행 책임자(initiator)로서의 어조화자는 단순히 아이디어만 제안하는 것이 아니라, 그 행동이 일어나도록 확실하게 처리하고 있다는 태도를 보인다.예:→ 기술자에게 그렇게 하라고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직접 조율해서 내일까지 진짜로 실행되게 하겠다는 뉘.. 2025. 4. 5. 25. be about to + 동사원형 be about to + 동사원형– ‘막 ~하려던 참이다’1. 개념 정리be about to + 동사원형은 특정 행동이나 사건이 매우 임박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표현이다.이 표현은 시간이 흐르면 바로 그 행동이 실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를 내포한다.문맥에 따라 실제 행동이 일어났을 수도 있고, 방해를 받아 무산되었을 수도 있다.2. 한국어와의 의미 비교항목 영어 (be about to) 한국어 (‘막 ~하려던 참이다’)의미어떤 행동이 바로 일어나기 직전의 상태행동을 하려는 순간이나 직전의 상태사용 맥락실제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며, 맥락에 따라 중단되기도 함주로 실제 행동 전에 쓰이며, 방해가 들어오는 경우 많음시간 개념현재, 과거, 미래 모두 사용 가능현재/과거 시점에 많이 사용되며, 미래에는 적.. 2025. 4. 5. 24. not ~ until not ~ until1. 개념 정리not ~ until은 어떤 일이 특정 시점 전까지는 발생하지 않음을 의미한다.해석은 주로 “~하고 나서야 비로소 ~하다”, “~때가 되어서야 ~하다”, 또는 “~ 전에는 ~하지 않는다” 등으로 자연스럽게 옮긴다.이 구조는 문장의 리듬이나 정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어, 강조나 극적 효과를 줄 때도 자주 쓰인다.⚠️ 한국어에는 부정 표현 뒤에 “까지”나 “전에는”이 오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으면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다. 예: “그때까지는 안 해” → 영어: “I won’t do it until then.”2. 기본 예문 (새로운 예시)He didn’t speak until everyone had left.(↔ “일찍부터 말한 게 아니라, 다 가고 나서야 .. 2025. 4. 4. 23. happen to happen to1. 개념 정리happen to + 동사원형은 어떤 일이 우연히, 뜻밖에, 예상하지 않았는데 벌어졌음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한국어로는 문맥에 따라 “마침”, “하필”, “혹시”, “우연히”, “알고 보니” 등으로 해석된다.💡 영어에서 happen to는 우연성의 뉘앙스를 갖는다. 어떤 의도나 계획 없이 ‘그렇게 됐다’는 느낌이 강조된다.💬 반면, 한국어에서는 이 우연성이 ‘좋은 기회’일 수도 있고, ‘뜻밖의 일’일 수도 있다. 상황 맥락이 감정을 좌우한다.2. 기본 예문I happen to know the owner of that café.→ 알고 보니 그 카페 주인을 내가 알더라고.I happen to be free this Friday evening.→ 마침 이번 금요일 저녁에 시.. 2025. 4. 4. 이전 1 2 3 4 5 6 7 다음